오케이 내과 건강증진클리닉은 개개인의 상태와 증상에 따라 질병을 조기에 예방하기 위한 예방접종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킵니다.
예방접종센터
A, B 형 간염
위험군 만성간질환자, 혈액제제를 자주 투여 받는 혈우병 환자, 보육시설 종사자, A형간염 바이러스에 노출될 위험이 있는 의료진 및 실험실 종사자, A형간염 유행지역 여행자 또는 근무 예정자, 음식물을 다루는 요식업체 종사자, 남성 동성애자, 약물중독자, 최근 2주 이내에 A형간염 환자와의 접촉자
감염병 안내 급성 바이러스성 간염 A형 간염은 주로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이나 음식물 섭취로 전염되며, 대부분 합병증 없이 회복 B형 간염은 급성 및 만성 간질환의 가장 흔한 원인 주로 출산 시 또는 출산 직후 어머니로부터 자식에게 바이러스가 전파되며 이외 비위생적인 주사바늘, 침, 면도기 등을 통해 전염될 수 있음
인플루엔자(독감)
위험군 50세 이상 성인, 만성 폐 질환, 심장 질환, 당뇨병, 신장 질환, 만성 간 질환, 악성 종양 등 기저 질환이 있는 사람, 면역 기능 저하 환자, 아스피린을 복용 중인 6~18세 소아, 사회 복지 시설 및 요양원 등 집단 시설에서 치료나 요양 중인 사람, 의료인
감염병 안내 급성 호흡기 질환 강한 전염성과 높은 합병증 발생률 어린이, 고령자 특히 주의 필요
폐렴구균
위험군 만성폐질환(천식 포함), 만성심장질환, 당뇨병, 만성간질환, 만성신부전, 신증후군, 해부학적 또는 기능적 무비증, 면역저하자(선천성 면역저하, HIV 감염, 백혈병, 림프종, 호치킨병, 다발성골수종, 기타 종양질환, 고형 장기 이식), 장기간의 고용량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포함한 면역 억제제 투여자, 인공와우 이식 환자, 뇌척수액 누출 환자
감염병 안내 급성 중이염, 폐렴 및 균혈증, 수막염 등 침습성 감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 영유아, 65세 이상의 고령자에서 발생 빈도 높음 폐렴구균 백신 : 단백결합 백신(프리베나 13), 다당질 백신
대상포진
위험군 60세 이상 연령에서 접종 권장
감염병 안내 신경질환 수두 바이러스가 특정 신경세포에 숨어 있다가 몸의 저항력이 약해질 때 재생해 피부에 물집과 심한 통증 유발
자궁경부암
위험군 11~12세에 예방접종을 완료하지 못한 25~26세 이하 여성에게 권장
감염병 안내 신경질환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여성 생식기에 발생하는 암 국내 여성암의 2위 자궁경부암 백신은 암을 예방하는 유일한 주사 질암과 항문암, 외음부암도 함께 예방
풍진
위험군 의료인, 개발도상국 여행자, 면역저하 환자를 돌보는 가족, 단체생활을 하는 성인
감염병 안내 풍진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으로 발생 / 높은 전염력 임신 초기에 임산부가 감염되면 태아에게 선천성 풍진 증후군을 일으켜 눈, 귀, 심장, 신경계 이상 발생 가임기 여성은 풍진 항체 검사를 시행해 항체가 없다면 접종이 필요
파상풍
위험군 만11~64세 연령에서 사용. 단, 필요한 경우 65세 이상의 연령에서도 접종 가능
감염병 안내 상처 부위에서 증식한 파상풍균의 번식과 신경 독소가 신경 세포에 작용해 근육의 경련성 마비와 동통을 동반한 근육수축을 일으키는 감염성 질환 면역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10년마다 한번씩 예방 접종